한국사 흥선대원군부터 일제강점기 까지 흐름
안녕하세요! 시험 대비로 흥선 대원군 시기부터 일제강점기의 애국 계몽 운동까지 정리해드릴게요.말씀하신 대로 전쟁 / 조약 / 개혁 / 단체 중심으로 정리하되, 시간 흐름도 자연스럽게 잡히도록 구성했어요!핵심만 콕콕 짚었으니, 시험 전에 꼭 읽고 정리해두세요 ✅ 1. 개혁 중심 정리1) 흥선 대원군의 개혁 (1860년대)왕권 강화 + 세도 정치 타파비변사 폐지 → 의정부·삼군부 부활서원 정리 → 전국 서원 약 600개 중 47개만 남김호포제 실시 → 양반도 군포 부담사창제 실시 → 지방 민생 안정화경복궁 중건 → 당백전 발행으로 물가 상승 초래2) 갑오개혁 (1894~1896, 3차에 걸쳐 시행됨) 동학농민운동 + 청일전쟁 이후 개혁1차 개혁 (김홍집·박영효 내각)→ 과거제 폐지, 은 본위 화폐 제도, 군국기무처 설치2차 개혁 (김홍집·박정양 내각)→ 교육 입국 조서, 단발령, 재판소 설치, 홍범 14조3차 개혁 (을미개혁)→ 태양력 도입, 단발령, 종두법 실시3) 광무개혁 (1897~1904, 대한제국 시기) 고종이 대한제국 선포 후 추진한 근대화 자주 개혁양전 사업, 지계 발급 (근대적 토지제도)근대식 공장·학교 설립군대 재편, 황제 중심의 제국 체제 구축✅ 2. 조약 중심 정리1) 강화도 조약 (1876)조선 최초의 근대적 불평등 조약 (일본과 체결)해안 측량권 인정, 치외법권 인정, 관세 규정 없음2) 조미수호통상조약 (1882)거중조정 조항 있음 (미국이 조선 도와줄 의무는 아님)최초의 서양 국가와의 조약3) 을사늑약 (1905)외교권 박탈 → 통감부 설치 (이토 히로부미 초대 통감)고종의 강한 반발 → 헤이그 특사 파견 (1907)4) 정미 7조약 (1907)군대 해산, 행정권 박탈 → 통감의 권한 강화5) 한일 병합 조약 (1910)조선 총독부 설치 → 무단 통치 시작✅ 3. 전쟁·무력 충돌 중심1) 병인양요 (1866)프랑스군 강화도 침입 → 정족산성, 양헌수 활약외규장각 도서 약탈됨2) 신미양요 (1871)미국이 통상 요구하며 강화도 침입 → 광성보 전투, 어재연 장군3) 임오군란 (1882)구식 군인 차별로 발생 → 청나라 군대 개입 → 제물포 조약4) 갑신정변 (1884)김옥균 등 개화파 주도 → 3일 천하 → 청나라 진압한성조약(일본과), 텐진조약(청·일 간) 체결5) 동학농민운동 (1894)1차 봉기 : 고부 민란 → 전봉준 주도 → 전주성 점령 → 폐정 개혁안2차 봉기 : 청·일군 개입 → 청일전쟁 발발 → 농민군 패배6) 의병운동을미의병(1895) : 단발령 계기 → 유생 중심을사의병(1905) : 을사늑약 계기 → 민종식, 최익현, 신돌석 등 활약정미의병(1907) : 군대 해산 이후 → 해산 군인 합류 → 조직적 무장투쟁✅ 4. 애국계몽운동 중심 단체 일본의 강제병합을 막기 위해 '의식 개혁 + 실력 양성'을 강조한 운동 1. 보안회 (1904)황무지 개간권 요구 반대 운동 (일본 저지 성공) 2. 헌정연구회 (1905)입헌군주제 주장, 정치 교육 실시 3. 대한자강회 (1906)고종 강제 퇴위 반대 운동 → 통감부에 의해 해산 4. 신민회 (1907)대표적 비밀결사 애국계몽단체안창호, 이승훈, 양기탁 등대성학교, 오산학교 등 교육운동태극서관, 대한매일신보 등 언론신흥무관학교 설립 (무장 독립군 양성)시험 정말 잘 보세요! 화이팅입니다! 스마트개미학습코치 드림